츄잉~ chuing~
 | 다크모드
 | 로그인유지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조커 | L:45/A:549 | LV282 | Exp.81%
4,609/5,650
| 0-0 | 2021-07-15 15:44:30 | 196 |
[숨덕모드설정] 게시판최상단항상설정가능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님의 가장 어여쁜 아들 나는 왕이로소이다. 가장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서….

그러나, 시왕전(十王殿)에서도 쫓기어 난 눈물의 왕이로소이다.

<맨 처음으로 내가 너에게 준 것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며는

<맨 처음으로 어머니께 받은 것은 사랑이었지요마는 그것은 눈물이더이다>하겠나이다. 다른 것도 많지요마는….

<맨 처음으로 네가 나에게 한 말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며는

<맨 처음으로 어머니에게 드린 말씀은 '젖 주셔요'하는 그 소리였지요마는, 그것은 '으아-'하는 울음이었나이다> 하겠나이다. 다른 말씀도 많지요마는….

 

이것은 노상 왕에게 들리어 주신 어머니의 말씀인데요.

왕이 처음으로 이 세상에 올 때에는 어머니의 흘리신 피를 몸에다 휘감고 왔더랍니다.

그 날에 동내의 늙은이와 젊은이들은 모두 '무엇이냐'고 쓸데없는 물음질로 한창 바쁘게 오고 갈 때에도

어머니께서는 기꺼움보다는 아무 대답도 없이 속 아픈 눈물만 흘리셨답니다.

빨까숭이 어린 왕 나도 어머니의 눈물을 따라서 발버둥질치며 '으아-' 소리쳐 울더랍니다.

 

그날 밤도 이렇게 달 있는 밤인데요.

으스름 달이 무리스고 뒷동산에 부엉이 울음 울던 밤인데요.

어머니께서는 구슬픈 옛이야기를 하시다가요, 일없이 한숨을 길 게 쉬시며 웃으시는 듯한 얼굴을 얼른 숙이시더이다.

왕은 노상 버릇인 눈물이 나와서 그만 끝까지 섧게 울어 버렸소이다. 울음의 뜻은 도무지 모르면서도요.

어머니께서 조으실 때에는 왕만 혼자 울었소이다.

어머니께서 지우시는 눈물이 젖 먹는 왕의 뺨에 떨어질 때이면 왕도 따라서 시름없이 울었소이다.

 

열한 살 먹던 해 정월 열나흘 날 밤, 맨재텀이로 그림자를 보러 갔을 때인데요, 명이나 긴가 짜른가 보랴고.

왕의 동무 장난꾼 아이들이 심술스럽게 놀리더이다. 모가지 없는 그림자라고요.

왕은 소리쳐 울었소이다. 어머니께서 들으시도록, 죽을까 겁이 나서요.

 

나무꾼의 산타령을 따라 가다가 건넛 산 산비탈로 지나가는 상두꾼의 구슬픈 노래를 처음 들었소이다.

그 길로 옹달 우물로 가자고 지름길로 들어서며는 찔레나무 가시덤불에서 처량히 우는 한 마리 파랑새를 보았소이다.

그래 철없는 어린 왕 나는 동무라 하고 좇아가다가, 돌뿌리에 걸리어 넘어져서 무릎을 비비며 울었소이다.

 

할머니 산소 앞에 꽃 심으로 가던 한식날 아침에

어머니께서는 왕에게 하얀 옷을 입히시더이다.

그리고 귀밑머리를 단단히 땋아 주시며,

<오늘부터는 아무쪼록 울지 말아라>

아아, 그때부터 눈물의 왕은 - 어머니 몰래 남 모르게 속 깊이 소리없이 혼자 우는 그것이 버릇이 되었소이다.

 

 누우런 떡갈나무 우거진 산길로 허물어진 봉화 뚝 앞으로 쫓긴 이의 노래를 부르며 어슬렁거릴 때에, 바위 밑에 돌부처는 모른 체하며 감중연(坎中連)하고 앉았더이다.

아아, 뒷동산에 장군 바위에서 날마다 자고가는 뜬 구름은 얼마나 많이 왕의 눈물을 싣고 갔는지요.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니의 외아들 나는 이렇게 왕이로소이다.

그러나 그러나 눈물의 왕 - 이 세상 어느 곳에든지 설움이 있는 땅은 모두 왕의 나라로소이다.

 

                                    - <백조3호>(1923) -

개추
|
추천
0
반대 0
신고
    
[숨덕모드설정] 게시판최상단항상설정가능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찾추가 규칙 숨덕설정 글15/댓글2
[시 문학]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조커 | 2021-07-15 [ 196 / 0-0 ]
[시 문학] 나는 별아저씨 - 정현종
조커 | 2021-07-15 [ 177 / 0-0 ]
[시 문학] 나그네 - 박목월
조커 | 2021-07-15 [ 166 / 0-0 ]
[시 문학] 세속도시의 즐거움․2 - 최승호
크리스 | 2021-07-15 [ 183 / 0-0 ]
[시 문학] 성호 부근(星湖附近) - 김광균
크리스 | 2021-07-15 [ 113 / 0-0 ]
[시 문학] 성탄제(聖誕祭) - 김종길
크리스 | 2021-07-15 [ 431 / 0-0 ]
[시 문학]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김영랑
조커 | 2021-07-14 [ 229 / 0-0 ]
[시 문학] 꽃 피는 시절 - 이성복
조커 | 2021-07-14 [ 145 / 0-0 ]
[시 문학] 꽃잎 절구 - 신석초
조커 | 2021-07-14 [ 135 / 0-0 ]
[시 문학] 성씨보(姓氏譜) - 오장환
크리스 | 2021-07-14 [ 181 / 0-0 ]
[시 문학] 성북동 비둘기 - 김광섭
크리스 | 2021-07-14 [ 284 / 0-0 ]
[시 문학] 성벽(城壁) - 오장환
크리스 | 2021-07-14 [ 121 / 0-0 ]
[시 문학] 꽃을 위한 서시 - 김춘수
조커 | 2021-07-13 [ 138 / 0-0 ]
[시 문학] 꽃덤불 - 신석정
조커 | 2021-07-13 [ 131 / 0-0 ]
[시 문학] 길 - 정희성
조커 | 2021-07-13 [ 117 / 0-0 ]
[시 문학] 섬진강 15 - 김용택
크리스 | 2021-07-13 [ 169 / 0-0 ]
[시 문학] 섬진강 1 - 김용택
크리스 | 2021-07-13 [ 154 / 0-0 ]
[시 문학] 섬 - 정현종
크리스 | 2021-07-13 [ 137 / 0-0 ]
[시 문학] 꽃- 이육사
조커 | 2021-07-12 [ 146 / 0-0 ]
[시 문학] 꽃 - 박두진
조커 | 2021-07-12 [ 158 / 0-0 ]
      
<<
<
16
17
18
19
20
>
>>
enFree
공지/이벤 | 다크모드 | 건의사항 | 이미지신고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PC버전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