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 다크모드
 | 로그인유지
“3번 맞았는데 또 맞으라고?”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 ‘외면’
크림동 | L:57/A:533 | LV101 | Exp.25%
515/2,030
| 0 | 2022-12-12 20:50:22 | 41 |
[숨덕모드설정] 게시판최상단항상설정가능
링크 https://v.daum.net/v/20221212170108641

“3차까지 맞았지만 백신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고, 부작용도 불안해서 추가 접종은 아직 고민 중입니다.” 직장인 이모(54)씨.

 

“코로나19 예방에 적극적이어서 백신 3차까지 기꺼이 맞았는데 동절기 추가 접종은 처음 들어봅니다.” 직장인 안모(29)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동절기 추가 접종이 시작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접종률이 한 자릿수에 머무르고 있다. 정부가 실내 마스크 해제 요건 중 하나로 추가 접종을 언급했지만 백신 효과에 대한 불신, 피로감 등을 이유로 시민들이 꺼리는 탓이다.

 

코로나19 백신 동절기 추가 접종률 두 달째 한 자릿수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백신 동절기 추가 접종률은 8.3%이다. 지난 10월 11일 추가 접종이 시작된 후 18세 이상 성인 391만6372명이 백신을 맞았다. 동절기 추가접종에 사용되는 백신은 오미크론 기반 2가백신이다. 기존 1~4차 접종에 활용된 단가백신보다 중화항체가 2~5배 상승해 효과가 높다. 기존 단가 백신 접종률의 경우 1차 90%, 2차 89.1%, 3차 71.6%다.

 

하지만 접종률은 지지부진하다. 정부가 지난 11월 21일부터 오는 19일까지 4주 동안 동절기 백신 집중 접종 기간을 운영했지만 참여가 저조해 이를 연말까지로 연장했다. 9일 0시 기준 60세 이상 접종률은 24.1%, 감염취약시설 대상자 접종률 36.8%다. 애초 목표로 했던 60세 이상 50%, 감염취약시설 대상자 60%에 한참 못 미친다.

 

“불안해서 못 맞는다” “있는 줄도 몰랐다” 시민들 ‘외면’

 

다수 시민이 추가 접종에 부정적인 모습이다. 백신에 대한 불신이 심각하다. 3차까지 접종을 하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되고 부작용 등 우려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탓이다.

 

직장인 이모(54) 씨는 “지난주 목요일에 아파트 엘리베이터 광고판을 보고 백신 정보를 알게 됐다”며 “3차까지 맞았지만 백신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들고 부작용도 숱하게 나와서 불안하다. 주변 지인들이 맞는지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추가 접종 자체를 몰랐다는 반응도 많다. 직장인 안모(29) 씨는 “코로나19 예방에 적극적인 편이라 3차까지는 거부감 없이 맞았다”면서도 “동절기 추가 접종이 있다는 걸 모르고 있었다. 알았다면 맞아서 예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씨는 결국 지난 8일 코로나19에 처음으로 확진됐다.

 

직장인 김모(31) 씨 또한 동절기 추가 접종은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이다. 김씨는 “2차까지 맞았지만 3차는 필요성을 못 느껴 맞지 않았고 동절기 추가 접종은 처음 듣는다”며 “지난여름에 코로나19에 감염되기도 했고 대통령도 안 맞는데 솔직히 못 믿어서 안 맞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이 백신 필요성에 공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 실제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이 최근 여론조사기관 케이스탯리서치와 공동으로 실시한 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36.3%가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을 보이는 응답자는 51.8%, 백신 접종으로 위중증·사망을 낮춘다는 효과가 크지 않다고 보는 응답도 34.4%로 집계됐다. 백신 추가접종 의사가 없는 응답자 419명 가운데 63%는 이유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도 감염되는 점을 꼽았다.

 

입장바뀌니까 빡세지?

개추
|
추천
0
신고
    
[숨덕모드설정] 게시판최상단항상설정가능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찾추가 규칙 숨덕설정 글10/댓글1
[사회] 문재인 케어 폐지가 사기극인 이유 [5]
저스트보닌 | 2022-12-14 [ 300 / 5 ]
[사회] 엑셀로 만든 주 69시간 체험 [5]
저스트보닌 | 2022-12-14 [ 284 / 4 ]
[정치] 12월 13일 최민의 시사만평
저스트보닌 | 2022-12-14 [ 60 / 0 ]
[잡담] [2보] 美 11월 소비자물가 7.1%↑…작년 말 이후 최소폭
인간맨 | 2022-12-13 [ 52 / 0 ]
[잡담] JTBC "통계 조작 관련자에 대가 있었다" 내부 진술도 확보 [3]
후부키 | 2022-12-13 [ 193 / 3 ]
[잡담] JTBC "문 정부, 광범위한 통계 조작 정황" [3]
후부키 | 2022-12-13 [ 836 / 11 ]
[경제] 주휴수당 폐지시 내년 ㅈ소기업 사원 월급. txt [10]
저스트보닌 | 2022-12-13 [ 310 / 6 ]
[잡담] 근로시간 개편안 가닥…“주 52시간→최대 69시간” [15]
크림동 | 2022-12-13 [ 508 / 5 ]
[잡담] [단독]“나라 구하다 죽었냐” 이태원 유족에 막말 시의원, 국민의힘 도당윤리위 회부 [4]
크림동 | 2022-12-13 [ 106 / 0 ]
[잡담] 백신 독려하며 실내 마스크 해제 방침, 엇갈린 메시지 속 확진자는 증가세 [1]
크림동 | 2022-12-13 [ 67 / 0 ]
[잡담] 병무청장 "병역인력 부족 상황…2026년까지 보충역 등 1200명 감축"
크림동 | 2022-12-13 [ 52 / 0 ]
[잡담] [단독] ‘뇌물혐의’ 노웅래 “저를 버리지 말아달라” 동료 의원들에 호소
크림동 | 2022-12-13 [ 122 / 0 ]
[사회] 주휴수당도 폐지 한답니다 ㅋㅋㅋㅋㅋ [15]
저스트보닌 | 2022-12-13 [ 225 / 4 ]
[사회] 펨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스트보닌 | 2022-12-13 [ 149 / 0 ]
[정치] 홍사훈 기자 페이스북 "땀의 대가" [8]
저스트보닌 | 2022-12-13 [ 102 / 0 ]
[정치] 1029참사 유가족 기자회견 [2]
저스트보닌 | 2022-12-13 [ 97 / 0 ]
[사회] 윤석열 주 120시간 노동 발언 논란 [3]
저스트보닌 | 2022-12-13 [ 118 / 0 ]
[정치] 윤씨 “8시간 추가근로 적극 입법 추진할 것 [11]
저스트보닌 | 2022-12-13 [ 114 / 0 ]
[정치] 이태원 참사 피해자 유가족들을 2차 가해하는 국짐의원 [3]
저스트보닌 | 2022-12-13 [ 83 / 0 ]
[정치] 의원이 됐는데 글을 올릴 땐 의원 신분인 걸 깜빡했다 [2]
저스트보닌 | 2022-12-13 [ 78 / 0 ]
      
<<
<
321
322
323
324
325
>
>>
enFree
공지/이벤 | 다크모드 | 건의사항 | 이미지신고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PC버전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